반응형
두 가지 방법의 초기결과는 동일하지만 설정방법이나 관계에 있어서 첫번째 방법이 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방법
Storyboard
파일 생성 (필요한 개수 만큼)- 메인 스토리보드에서
TabbarViewController
생성 및 기본 연결된 VC 제거 - 오른쪽 상단 라이브러리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Storyboard Reference
추가 (1번에서 만든 Storyboard 개수 만큼) 컨트롤
+마우스 왼쪽 드래그
한 후에 3번에서 만든 SR에 연결 및 Relationship Segue 밑에view controllers
선택Attributes inspector
클릭 및 첫번째 칸에 storyboard 지정- 각 스토리보드에서
VC or navigationVC
생성 및inital VC
지정 - 각 VC 안에
Tab Bar Item
추가 (메인 스토리보드에는 표시가 안되지만 화면에는 우선순위로 되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방법
Storyboard
파일 생성 및 StoryBoard ID 입력 (필요한 개수 만큼)- 메인 스토리보드에서
TabbarViewController
생성 및 기본 연결된 VC 제거 - 오른쪽 상단 라이브러리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Storyboard Reference
추가 (1번에서 만든 Storyboard 개수 만큼) 컨트롤
+마우스 왼쪽 드래그
한 후에 3번에서 만든 SR에 연결 및 Relationship Segue 밑에view controllers
선택Attributes inspector
클릭 및 첫번째 칸에 storyboard 지정과 두번째 칸에 Referenced ID 입력 (각 storyBoard ID), 두번째 칸 입력안하면 TabbarItem 이 이상한 위치에 생성되거나 아예 안보입니다.- 각 스토리보드에서
TabbarVC
생성 및inital VC
지정
참고
반응형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simulator의 SQLite를 DB Browser 확인하기 (0) | 2019.02.19 |
---|---|
SQLite 데이터 값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을 때 unsafeBitCast 사용하기 (0) | 2019.02.04 |
WKWebview를 이용한 Javascript, Swift 양방향 통신 (3) | 2018.12.06 |
@IBDesignable , @IBInspectable in Custom Object (0) | 2018.11.11 |
sizeToFit 함수와 center 속성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작성 순서 (0) | 2018.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