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JAVA

자바 기본 문법 2. 자료형

반응형

2. 자료형


프로그래밍 작성중 발생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 해야할 경우가 있다면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확보 하는것

이것을 " 변수를 선언한다" 라고 함


변수를 선언할때 데이터 성격을 알려줘야 함(글자인지 숫자인지 정수인지 실수인지)


1) 기본자료형 (8가지)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2) 참조자료형

3) 비교연산자
4) 논리연산자
5) 비트연산자
6) 비트이동연산자
7) 복합치환연산자
8) 삼항연산자



<<기본자료형 char 관련 코드>>


class Type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 "k";

System.out.println(s);


char ch;

//ch = "k";

//ch = 'korea';

ch = 'k';


System.out.println(ch);

}

}




정수를 위한 자료형

byte

short

int

long


byte b = 128; X 에러남

byte b = (byte)128; O 컴파일되지만 결과값은 -127이 나옴 (싸이클로 이루어진 것때문에, 값 유추는 의미 없음)



실수를 위한 자료형

float

double


<예제1>

double height = 183.5;

System.out.println("홍길동의 키는" + height);


==> 결과값은 "홍길동의 키는 183.5" 


<예제2>

위에 것을 float 값에 줄것이면

float height = 183.5F;

or

float height = (float)183.5;

라고 해야함


<예제3>

float width = 2.7F;

double w = width;


위에 두 문장은 에러가 나지 않는다.

double 값을 float 값으로 바꾸는 것은 안되지만, float 값은 double 값으로 줄 수 있다.

반응형